[프로그래머스] 땅따먹기
문제 설명
땅따먹기 게임을 하려고 합니다. 땅따먹기 게임의 땅(land)은 총 N행 4열로 이루어져 있고, 모든 칸에는 점수가 쓰여 있습니다. 1행부터 땅을 밟으며 한 행씩 내려올 때, 각 행의 4칸 중 한 칸만 밟으면서 내려와야 합니다. 단, 땅따먹기 게임에는 한 행씩 내려올 때, 같은 열을 연속해서 밟을 수 없는 특수 규칙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 1 | 2 | 3 | 5 |
| 5 | 6 | 7 | 8 |
| 4 | 3 | 2 | 1 |
로 땅이 주어졌다면, 1행에서 네번째 칸 (5)를 밟았으면, 2행의 네번째 칸 (8)은 밟을 수 없습니다.
마지막 행까지 모두 내려왔을 때, 얻을 수 있는 점수의 최대값을 return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위 예의 경우, 1행의 네번째 칸 (5), 2행의 세번째 칸 (7), 3행의 첫번째 칸 (4) 땅을 밟아 16점이 최고점이 되므로 16을 return 하면 됩니다.
제한사항- 행의 개수 N : 100,000 이하의 자연수
- 열의 개수는 4개이고, 땅(land)은 2차원 배열로 주어집니다.
- 점수 : 100 이하의 자연수
[[1,2,3,5],[5,6,7,8],[4,3,2,1]] | 16 |
입출력 예 #1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int max(int n,int m){ //최대값을 리턴하는 함수
int max = Math.max(n,m); //max 사용
return max;
}
int makeMax(int[] arr){
List<Integer> result = new ArrayList<>();
for(int i=0; i<arr.length; i++){
result.add(arr[i]);
}
Collections.sort(result);
return result.get(result.size()-1);
}
int solution(int[][] land) {
int answer = 0;
for(int j=1; j<land.length; j++){
//자기 전 행에서 본인의 위치에 있는 값을 제외하고 가장 큰걸 더해준다
land[j][0] += max(max(land[j-1][1],land[j-1][2]),land[j-1][3]);
land[j][1] += max(max(land[j-1][0],land[j-1][2]),land[j-1][3]);
land[j][2] += max(max(land[j-1][0],land[j-1][1]),land[j-1][3]);
land[j][3] += max(max(land[j-1][0],land[j-1][1]),land[j-1][2]);
}
answer = makeMax(land[land.length-1]);
return answer;
}
}
|
cs |
DP(동적계획법)로 푸는 문제
처음 접근할 때 각각의 행에서 값을 선택한 뒤, 다음 행에서 값을 가져올때 밟지 못하는 땅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최대값을 더하는 식으로 처리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으로 풀 경우, 테스트케이스는 통과하지만 채점단계에서는 전부 실패한다.
확인해보니 많은 사람들이 이런 실수를 범하고 헤매는 모습을 보였다.
동적계획법을 사용하여 풀어야 한다는 것을 알았고 이에 대해 잘 정리해놓은 블로그가 있어서 참고했다.
https://shanepark.tistory.com/183
피보나치 수열과 프로그래머스 땅따먹기 문제로 알아보는 Dynamic Programming (동적 프로그래밍)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13 자세한 문제는 programmers를 통해 확인 해 주세요. 문제 땅따먹기라고 하지만, 우리가 알고있는 땅따먹기와는 거리가 있습니다. 차라리 어렸을 적 하..
shanepark.tistory.com
DP로 문제를 풀면 쉽게 해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