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2. 8. 18:34
문제 설명
주차장의 요금표와 차량이 들어오고(입차) 나간(출차) 기록이 주어졌을 때, 차량별로 주차 요금을 계산하려고 합니다. 아래는 하나의 예시를 나타냅니다.
- 요금표
기본 시간(분)기본 요금(원)단위 시간(분)단위 요금(원)
| 180 | 5000 | 10 | 600 |
- 입/출차 기록
시각(시:분)차량 번호내역
| 05:34 | 5961 | 입차 |
| 06:00 | 0000 | 입차 |
| 06:34 | 0000 | 출차 |
| 07:59 | 5961 | 출차 |
| 07:59 | 0148 | 입차 |
| 18:59 | 0000 | 입차 |
| 19:09 | 0148 | 출차 |
| 22:59 | 5961 | 입차 |
| 23:00 | 5961 | 출차 |
- 자동차별 주차 요금
차량 번호누적 주차 시간(분)주차 요금(원)
| 0000 | 34 + 300 = 334 | 5000 + ⌈(334 - 180) / 10⌉ x 600 = 14600 |
| 0148 | 670 | 5000 +⌈(670 - 180) / 10⌉x 600 = 34400 |
| 5961 | 145 + 1 = 146 | 5000 |
- 어떤 차량이 입차된 후에 출차된 내역이 없다면, 23:59에 출차된 것으로 간주합니다.
- 0000번 차량은 18:59에 입차된 이후, 출차된 내역이 없습니다. 따라서, 23:59에 출차된 것으로 간주합니다.
- 00:00부터 23:59까지의 입/출차 내역을 바탕으로 차량별 누적 주차 시간을 계산하여 요금을 일괄로 정산합니다.
- 누적 주차 시간이 기본 시간이하라면, 기본 요금을 청구합니다.
- 누적 주차 시간이 기본 시간을 초과하면, 기본 요금에 더해서, 초과한 시간에 대해서 단위 시간 마다 단위 요금을 청구합니다.
- 초과한 시간이 단위 시간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으면, 올림합니다.
- ⌈a⌉ : a보다 작지 않은 최소의 정수를 의미합니다. 즉, 올림을 의미합니다.
주차 요금을 나타내는 정수 배열 fees, 자동차의 입/출차 내역을 나타내는 문자열 배열 recor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차량 번호가 작은 자동차부터 청구할 주차 요금을 차례대로 정수 배열에 담아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fees의 길이 = 4
- fees[0] = 기본 시간(분)
- 1 ≤ fees[0] ≤ 1,439
- fees[1] = 기본 요금(원)
- 0 ≤ fees[1] ≤ 100,000
- fees[2] = 단위 시간(분)
- 1 ≤ fees[2] ≤ 1,439
- fees[3] = 단위 요금(원)
- 1 ≤ fees[3] ≤ 10,000
- 1 ≤ records의 길이 ≤ 1,000
- records의 각 원소는 "시각 차량번호 내역" 형식의 문자열입니다.
- 시각, 차량번호, 내역은 하나의 공백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 시각은 차량이 입차되거나 출차된 시각을 나타내며, HH:MM 형식의 길이 5인 문자열입니다.
- HH:MM은 00:00부터 23:59까지 주어집니다.
- 잘못된 시각("25:22", "09:65" 등)은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 차량번호는 자동차를 구분하기 위한, `0'~'9'로 구성된 길이 4인 문자열입니다.
- 내역은 길이 2 또는 3인 문자열로, IN 또는 OUT입니다. IN은 입차를, OUT은 출차를 의미합니다.
- records의 원소들은 시각을 기준으로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주어집니다.
- records는 하루 동안의 입/출차된 기록만 담고 있으며, 입차된 차량이 다음날 출차되는 경우는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 같은 시각에, 같은 차량번호의 내역이 2번 이상 나타내지 않습니다.
- 마지막 시각(23:59)에 입차되는 경우는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 아래의 예를 포함하여, 잘못된 입력은 주어지지 않습니다.
- 주차장에 없는 차량이 출차되는 경우
- 주차장에 이미 있는 차량(차량번호가 같은 차량)이 다시 입차되는 경우
입출력 예
feesrecordsresult
| [180, 5000, 10, 600] | ["05:34 5961 IN", "06:00 0000 IN", "06:34 0000 OUT", "07:59 5961 OUT", "07:59 0148 IN", "18:59 0000 IN", "19:09 0148 OUT", "22:59 5961 IN", "23:00 5961 OUT"] | [14600, 34400, 5000] |
| [120, 0, 60, 591] | ["16:00 3961 IN","16:00 0202 IN","18:00 3961 OUT","18:00 0202 OUT","23:58 3961 IN"] | [0, 591] |
| [1, 461, 1, 10] | ["00:00 1234 IN"] | [14841]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 요금표
기본 시간(분)기본 요금(원)단위 시간(분)단위 요금(원)
| 120 | 0 | 60 | 591 |
- 입/출차 기록
시각(시:분)차량 번호내역
| 16:00 | 3961 | 입차 |
| 16:00 | 0202 | 입차 |
| 18:00 | 3961 | 출차 |
| 18:00 | 0202 | 출차 |
| 23:58 | 3961 | 입차 |
- 자동차별 주차 요금
차량 번호누적 주차 시간(분)주차 요금(원)
| 0202 | 120 | 0 |
| 3961 | 120 + 1 = 121 | 0 +⌈(121 - 120) / 60⌉x 591 = 591 |
- 3961번 차량은 2번째 입차된 후에는 출차된 내역이 없으므로, 23:59에 출차되었다고 간주합니다.
입출력 예 #3
- 요금표
기본 시간(분)기본 요금(원)단위 시간(분)단위 요금(원)
| 1 | 461 | 1 | 10 |
- 입/출차 기록
시각(시:분)차량 번호내역
| 00:00 | 1234 | 입차 |
- 자동차별 주차 요금
차량 번호누적 주차 시간(분)주차 요금(원)
| 1234 | 1439 | 461 +⌈(1439 - 1) / 1⌉x 10 = 14841 |
- 1234번 차량은 출차 내역이 없으므로, 23:59에 출차되었다고 간주합니다.
제한시간 안내
- 정확성 테스트 : 10초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
import java.util.*;
import java.time.LocalDateTime;
import java.time.format.DateTimeFormatter;
import java.text.SimpleDateFormat;
import java.util.Date;
import java.text.ParseException;
import java.util.Collections;
import java.lang.Math;
class Solution {
//2.fees는 고정값
//3.비용 계산하는 함수 따로 만들기
//4.모든 차는 출차되므로 각 자동차별 누적 주차시간을 구함
//5.구한 주차시간을 바탕으로 비용 계산
int makeFee(int[] fees,Long time){
//비용계산
//1.fee의 0은 기본시간 1은 요금 2는 단위시간 3은 단위요금
int result = 0;
int value = time.intValue();
if(value>fees[0]){
double unit = (double)(value-fees[0])/fees[2];
result = fees[1] + ((int)Math.ceil(unit) * fees[3]);
} else {
result = fees[1];
}
return result;
}
//차량별 주차시간 계산하는 함수
long makeTime(String outTime,String inTime){
try {
Date format1 = new SimpleDateFormat("HH:mm").parse(outTime);
Date format2 = new SimpleDateFormat("HH:mm").parse(inTime);
//두날짜 사이의 시간 차이(ms)를 하루 동안의 ms(24시*60분*60초*1000밀리초) 로 나눈다.
long diffDay = (format1.getTime() - format2.getTime()) / 60000;
return diffDay;
}catch (ParseException e) {
return 0;
}
}
public int[] solution(int[] fees, String[] records){
HashMap<String,Long> carMap = new HashMap<String,Long>(); //HashMap생성,차량별 누적시간 저장
HashMap<String,String> record_map = new HashMap<String,String>(); //입출고 내역 저장하는 맵
//1.문자열 공백으로 구분하고 for문 돌려서 입출고 하나하나 계산
for(int i=0; i<records.length; i++){
String[] tmp = records[i].split("\\s");
if(tmp[2].equals("IN")){
//입고이면, 마지막이 입출고이므로 배열 마지막으로 확인
record_map.put(tmp[1],tmp[0]); //첫번째가 차량번호, 두번째가 시간
}else{
//출고이면 입출고 맵에서 같은 차량번호가 있는지 확인하기
if(record_map.containsKey(tmp[1])){
//같은게 있으면 입출고 완료이므로 결과에 넣어줌
//단, 같은 차가 왔다갔다 할 경우를 대비해서 결과 맵에 같은 키가 있으면 값 더해주기
if(carMap.containsKey(tmp[1])){
//결과 맵에 같은게 있으므로 value를 우선 계산한 다음
Long result = makeTime(tmp[0],record_map.get(tmp[1]));
//입고시간,출고시간
//원래 있던 값에 계산한 값을 더해줌
carMap.put(tmp[1],carMap.get(tmp[1]) +result);
record_map.remove(tmp[1]);//출고됐으므로 입고에서도 지워줌
} else{ //없으니까 그냥 넣어줌, 출고 - 입고
//결과나오면 결과에 넣기
carMap.put(tmp[1],makeTime(tmp[0],record_map.get(tmp[1])));//입고시간,출고시간
record_map.remove(tmp[1]);//출고됐으므로 입고에서 지워줌
}
}
}
}
System.out.println( "test record_map == "+record_map);
//record_map에 값이 남아있으면 23:59분에 출차될 차들임
if(record_map.size()>0){
for(String i : record_map.keySet()){ //저장된 key값 확인
//같은게 있으면 입출고 완료이므로 결과에 넣어줌
//단, 같은 차가 왔다갔다 할 경우를 대비해서 결과 맵에 같은 키가 있으면 값 더해주기
if(carMap.containsKey(i)){
//결과 맵에 같은게 있으므로 value를 우선 계산한 다음 -> 출고시간은 고정
Long result = makeTime("23:59",record_map.get(i));
//입고시간,출고시간
//원래 있던 값에 계산한 값을 더해줌
carMap.put(i,carMap.get(i) +result);
} else{ //없으니까 그냥 넣어줌, 출고 - 입고
//결과나오면 결과에 넣기
carMap.put(i,makeTime("23:59",record_map.get(i)));//입고시간,출고시간
}
}
}
System.out.println( "test carMap == "+carMap);
List<Integer> list = new ArrayList<>();
//carmap 넘겨주고 값 계산해서 리턴, 차량번호가 작은거부터 넣어야함
// 키로 정렬
List<String> keyData = new ArrayList<>();
Set<String> keys = carMap.keySet();
for (String key : keys) {
keyData.add(key);
}
Collections.sort(keyData);
for(String i : keyData){
list.add(makeFee(fees,carMap.get(i)));
}
int[] answer = new int[list.size()];
for(int i=0; i<answer.length; i++){
answer[i] = list.get(i);
}
return answer;
}
}
|
cs |
쓸데없는 라이브러리를 너무 많이 사용해 해결했음
런타임에러가 발생해 23시59분에 출차되는 차량을 계산하는 부분을 분석해보니 코드를 그대로 가져다 쓰다가
for문 안에서 맵에 저장된 값을 계속 지우고 있는 것을 확인하고 수정함
이부분 때문에 한시간 넘게 허비함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프로그래머스] 최솟값 만들기 (0) | 2022.02.10 |
|---|---|
| [프로그래머스]2019 카카오 개발자 겨울 인턴십 튜플 (0) | 2022.02.10 |
| [프로그래머스] [1차] 뉴스 클러스터링 (0) | 2022.02.08 |
| [프로그래머스]짝지어 제거하기 (0) | 2022.02.08 |
| [프로그래머스]오픈채팅방 (0) | 2022.02.08 |
